반응형
엑셀로 공정능력 cpk를 계산 할 수 있는 내용 입니다.
공정능력(Process Capability)은 공정이 얼마나 안정되고 목표치에 가까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주로 Cp, Cpk, Pp, 및 Ppk와 같은 통계량을 사용하여 측정됩니다. 아래는 엑셀을 사용하여 공정능력을 계산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.
- 데이터 수집 및 정리:
- 먼저, 해당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합니다.
- 데이터는 정규 분포를 따라야 하며, 최소한 30개의 샘플이 있어야 정확한 공정능력 지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
- 평균 및 표준편차 계산:
- 엑셀에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합니다. 각각의 함수는 AVERAGE 및 STDEV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면, =AVERAGE(A2:A31) 및 =STDEV(A2:A31)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여기서 A2:A31은 데이터 범위입니다.
- Cp, Cpk 계산:
- Cp는 공정능력 지수로, Cp = (USL - LSL) / (6 * 표준편차)로 계산됩니다. 여기서 USL은 상한선, LSL은 하한선입니다.
- Cpk는 Cpk = MIN((평균 - LSL) / (3 * 표준편차), (USL - 평균) / (3 * 표준편차))로 계산됩니다.
- Pp, Ppk 계산:
- Pp는 공정능력 지수로, Pp = (USL - LSL) / (6 * 표준편차)로 계산됩니다.
- Ppk는 Ppk = MIN((평균 - LSL) / (3 * 표준편차), (USL - 평균) / (3 * 표준편차))로 계산됩니다.
- 결과 표시:
- 계산된 Cp, Cpk, Pp, Ppk 값을 원하는 위치에 표시합니다.
반응형
'품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SD 포장 규격 (0) | 2023.07.24 |
---|---|
고무 오링(O-Ring) 압축률 측정(계산) 방법 (0) | 2023.07.22 |
표준편차 란? (0) | 2023.07.21 |
품질문제 신속 처리를 위한 Action - 8D report 양식 (0) | 2023.07.21 |
품질문제 신속 처리를 위한 Action - 8D report (0) | 2023.07.21 |